나경원 “책임정치 실현 위해선 단일체제가 더 적합”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일각에서 대선 패배 이후 당의 조직 안정과 권한 분산을 위한 대안으로 지도체계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당권 주자들의 반발로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박성훈 원내대변인은 26일 “과도한 권한 집중 문제를 해소하고 다양한 인재가 지도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중 하나로 집단지도체제를 검토할 수 있다”며 당내 기류를 전했다.
당 관계자는 “집단지도체제는 다수의 중진 의원들이 지도부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며 반면 “(단일지도체제에서는)최고위원 자리는 초선들의 잔치로 전락하고, 유력 주자들이 지도부에 참여하지 못하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동훈 대표 체제에서 드러난 지도부의 취약성이 그 단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실제 국민의힘 내부에서 대표 1인만 선출하고, 최고위원들은 별도 선거로 뽑는 현행 단일지도체제 방식의 불합리성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반면 최다 득표자는 대표로, 나머지 경쟁자들은 득표 순위에 따라 지도부에 입성하는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 요구는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차기 당권 주자들은 강력 반발했다.
안철수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는)단 한 발자국도 전진할 수 없는 변종 히드라”라며 “혁신적 리더십이 필요한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계파 갈등과 시간 낭비를 초래하고 당은 다시 분열의 늪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집단지도체제에서는 계파 간 밥그릇 싸움, 진영 간 내홍, 주도권 다툼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필요한 것은 단 하나, 강력하고 혁신적인 리더십"이라며 "당을 살리려면, 권한과 책임이 명확한 단일 리더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의원도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같은) 안 좋은 기억이 있다”며 “책임정치 실현과 안정적 리더십을 위해 단일지도체제가 더 적합하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한동훈 전 대표측 정성국 의원은 “(집단지도체제 전환 논의는)한동훈 전 대표의 당권 도전을 견제하기 위한 사전 장치로 의심받을 수 있다”며 “또 무엇인가 꾸며지고 있다는 우려가 든다”고 음모론을 제기했다.
한편 집단지도체제를 개정하려면 당헌 개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
현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개정안은 당 대표, 최고위원회, 국회의원 3분의1 이상, 시ㆍ도당 3곳 이상 또는 전국위원 3분의1 이상 발의로 상정될 수 있고 상임전국위원회 심의를 거쳐 전국위원회 재적 과반 출석, 출석 위원 3분의2 이상 찬성으로 개정이 가능하다.
전대 일정이 구체화되면서 당헌 개정 여부와 지도체제 논의는 향후 당권 구도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당 지도부는 이르면 7월 중순 전국위원회를 열어 개정 여부를 최종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