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원으로는 유상범(강원 홍천ㆍ횡성ㆍ영월ㆍ평창)ㆍ전주혜ㆍ엄태영(충북 제천ㆍ단양) 의원과 김용태(경기 포천ㆍ가평) 당선인이 13일 상임전국위원회 추인을 거쳐 정식 임명될 예정이다.
이들 비대위원들은 차기 당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까지 4.10 총선 참패 이후 당 수습과 전당대회 경선 규칙 결정 등의 임무를 맡아 활동하게 된다.
비대위 구성이 완료되면 전당대회 개최 시점, 차기 당 대표 선출 방식 등 전대 룰 변경 문제가 뇌관으로 부상할 조짐이다.
전대 개최 시점은 당초 '6월 말ㆍ7월 초'가 당내 중론이었다. 하지만 황 위원장이 전대 개최까지 최소 한달 이상 더 걸릴 수 있다고 예고한 상태다.
황 위원장은 전대 룰 개정 여부와 당내 의견 수렴 절차 등을 고려해 역산하면 일정 지연은 불가피하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당 대표 도전이 예상되는 당권 주자들과 일부 친윤계 인사들은 전대를 빨리 열어 당 지도체제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반론을 일제히 제기했다.
여기에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에 대한 견제 심리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대가 미뤄지면 한 전 위원장이 당권에 도전할 길이 열리게 된다는 관측이 나왔기 때문이다.
대표 선출 규정은 더 민감한 사안이다.
친윤 주류와 영남 의원들은 당원 투표 100%로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규정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수도권ㆍ초선 당선인, 원외 그룹은 당 대표 선거에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 '당원 투표 70%·국민 여론조사 30%', '당원 50%ㆍ여론조사 50%' 등으로 선출 규정을 개정해야 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전대개최 시기와 룰 개정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점도 당내 논쟁을 키우는 변수가 될 수 있다.
전대개최까지 실무 절차를 압축하더라도 한달 넘게 준비 기간이 필요한데 룰 개정까지 이뤄진다면 이 기간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