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탄압대책위원장인 장경태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대표 경선에 출마한 윤상현 의원이 '이 전 대표 주위 의문사를 진상조사' 해야 한다며 특검을 주장하고 나섰다"며 "가장 중요한 가치인 국민의 생명이 검찰에 의해 침해당한 사안을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나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최근 인권연대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20년간 검찰 수사 중 자살한 사람의 수가 163명에 이른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한해 평균 12명, 즉 한달에 한명이 검찰의 강압적인 수사를 견디다 못해 스스로 생을 마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피의자를 죽음으로 몰아넣는 살인적인 검찰의 수사는 특히 야당 전 대표 등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정적을 대상으로 한 수사에서 그 잔혹성이 배가 되는 듯 보인다"며 "야당 전 대표와 관련한 수사에서 안타까운 사망은 검찰의 무리하고 강압적인 수사를 그 원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윤 의원이 주장하는 특검이 만약 실시되어야 한다면, 이는 ‘정적 탄압 살인 수사 진상 조사’ 특검이 되어야 할 것"이라며 "우리 당과 위원회는 윤 의원이 제안한 ‘검찰 수사로 인한 의문사 진상 조사 특검’을 수용하고 관련 내용을 검토해 발의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장 의원은 이후 기자들을 만나 "윤 의원 주장대로 이 전 대표 주변 의문사 뿐만 아니라 검찰의 강압수사로 인한 의문사도 종합적으로 특검해야 한다 생각한다"며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된 검사 탄핵 대상자들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여러 사건 조작이나 의문사 관련해서도 다양하게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 6월30일 페이스북을 통해 "여섯 번째 죽음"이라며 "유한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사업본부장, 김문기 전 성남도개공 개발사업1처장, 이 전 대표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제기한 이 모씨, 김혜경 법인카드 유용 의혹 연루 배 모씨의 지인, 이 전 대표의 전 비서실장이던 전 모씨에 이어 이어 김만배씨와 돈거래를 했던 전 언론사 간부까지 숨졌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에 숨진 전 언론사 간부는 김씨와의 돈거래를 통해 대장동 일당에 우호적인 기사를 작성하거나 불리한 기사를 막아달라는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수사 중이었다"며 "한두 번이면 우연한 사고일 수 있지만, 여섯 번이나 이 전 대표와 관련된 유력한 증인들이 검찰 수사 중에 숨지는 상황은 일반적인 수준을 뛰어넘는 미스테리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 죽음의 정치를 멈춰야 한다. 이 전 대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의문사에 대해 특검에 나서야 한다. 진상을 밝혀야만 끝낼 수 있다"며 "이 전 대표 주위에서 벌어지는 의문사는 일반적인 뇌물이나 독직 사건의 차원이 아니다. 우리 정치 역사에 이런 일이 없었다. 이 전 대표가 추구하는 정치가 무엇인가. 자신의 지인들이 검찰 수사 중에 잇따라 죽음을 맞이하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특검이 필요한 일 아니냐"고 했다.
윤 의원의 당권 경쟁자인 원희룡 전 장관도 같은 날 페이스북에서 "대장동 일당과 엮인 죽음이 벌써 여섯 번째"라며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거짓과 어둠을 이 땅에서 몰아내야 한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