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이날 채널A 라디오에서 "한동훈 전 위원장은 우리 당 구성원 중 (윤석열)대통령과 제일 가까운 분으로 오랜 세월을 함께했기에 (두 분을)분리해 놓고 말할 수 없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등판하지 않았다면 정치인 한동훈도 없었을 것"이라며 "반윤, 반한이라며 가르마를 타는 것은 우리 당이 잘못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의도된 프레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선거 이후에 두 분이 만났으면 오해도 없었을 것"이라며 "만나야 한다. 이견이 있으면 만나서 조율하고 하다못해 논쟁해서라도 결론을 도출하는 게 맞다"고 윤-한 회동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한 전 위원장의 등판설이 구체화되면서 친윤계와 친한계 사이의 갈등의 골도 깊어지는 양상이다.
특히 '한동훈 책임론' 논란의 중심에 선 국민의힘 총선백서가 계파 갈등의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정부 아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휘한 여당의 총선 패배를 둘러싼 책임 공방이 갈수록 드세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앞서 총선백서TF는 설문조사 문항에서 '한동훈 원톱론'과 이ㆍ조(이재명ㆍ조국) 심판론 전략을 패배 원인으로 지목해 당내 친한계 반발을 산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