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친명일색' 전대...‘이재명 사당화' 굳히나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7-02 14:07:5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최고위원 출마 6명, 모두 친명...숨죽인 ‘비명’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8.18 전당대회를 앞두고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 기류 속에서 '이재명 사당화'가 굳히기에 들어간 가운데 친명일색인 최고위원 후보군에도 비명계는 침묵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정치권 관계자는 2일 “점점 더 당내 환경이 이재명 전 대표 ‘일극 체제’로 흐르는 상황에서, 쓴소리를 던질 수 있는 지도부 후보조차 눈에 띄지 않으면서 민주당의 다양성을 우려하는 지적이 나온다”고 전했다.


실제 이재명 전 대표의 연임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친명계는 다른 주자가 출마할 틈조차 내어주지 않고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친명계 좌장격인 정성호 의원은 당 대표 출마 여부를 저울질하는 김두관 의원을 향해 "민주당의 취약 지역인 영남을 대표하는 정치인이기 때문에 당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지만 지금은 (당 대표에 출마할)때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전날 YTN 라디오에서 "의미 있는 득표를 해야 경선도 재밌고 국민 보기에도 그럴싸한데 흥행은커녕 국민도 안 좋게 보일 수 있다는 걱정이 든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이재명 (민주당 전)대표는 연임을 피하려고 해도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며 "독재 지도자처럼 인위적으로 경쟁자들을 배제한 것이 아니라 확고한 리더십으로 지난 총선을 지휘했고 공천 과정을 통해 민주당의 변화를 만들어 압도적 승리를 끌어냈기 때문"이라고 했다.


특히 정 의원은 오는 10월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관련 1심 재판과 관련해서 "판결을 예상하기 쉽지 않지만 (이 전 대표가)충분히 소명했고 법원도 합리적으로 판단할 것"이라며 "개인적으로는 무죄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데 유죄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결국 100만원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범죄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으면 5년 동안 피선거권을 제한하고 공직에 출마하거나 임용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최고위원 후보군도 친명계 일색이지만 당내 비명계는 아예 숨죽인 모양새다.


실제 전날까지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한 6명 모두 친명계 인사다.


재선 강선우ㆍ김병주 의원이 지난 6월24일 일찌감치 도전 의사를 밝혔고 지난 6월30일 김지호 상근부대변인이 출사표를 던졌다. 전날엔 4선 김민석ㆍ초선 이성윤ㆍ재선 한준호 의원이 잇따라 최고위원 출마를 공식화했다.


친명으로 꼽히는 이들은 각각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하면서 이 전 대표를 내세웠다. 본인이 최고위원으로 뽑혀야 하는 이유를 넘어 “이재명 대표의 연임은 당원의 명령”(강선우), “최고위원 후보들 모두 ‘충성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동행할 진정한 지도자로 이재명 전 대표를 선택한 것”(한준호) 등 이 전 대표 연임 당위성까지 강조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 5월 민주당내 국회의장 후보 선거 이후 거세게 분 당원권한 확대 바람과 무관치 않다. 당원들의 권한을 기존보다 늘려야 한다는 기조 속에 이번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표 가치가 커졌다. 그동안 중앙위원 100%로 반영되던 최고위원 예비경선은 이번에 중앙위원 50%, 권리당원 50% 적용으로 바뀌었다.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9~10일 전당대회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을 받기로 했다. 이 전 대표의 당 대표 출마 선언도 후보자 등록 일정에 맞춰 이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