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 윤희숙 전 의원이 31일 총선을 앞두고 여당내에서 제기되는 이른바 ‘586 기득권 청산’과 관련해 31일 “정치 세대교체가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전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 총선의 콘셉트는 시대적 과제가 너무 엄중하고 그 시대적 과제를 감당할 수 있고 의지가 있고 도덕성이 있는 사람들과 정치세력이 정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586이 한 시대를 풍미했고 이제는 자기 역할을 하지 못하는 세대이기 때문에 당연히 가야 하는 세대”라며 “지금 정치 세대교체라든가 시대적인 과제를 국민들 앞에서 마음껏 얘기할 수 있는 장이 큰 선거의 장 아니겠는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586 운동권들이 2000년 김대중 대통령께서 젊은 피 수혈로 정치권에 대거 들어왔고 운동을 했다는 도덕성을 트레이드마크로 해서 들어왔다”며 “그때는 신선했지만 지금 25년이 지난 다음 현재 신선한가. 조국 사태 때 그 유효성은 완전히 검증받았다”라고 꼬집었다.
또 “그리고 우리가 60년의 개발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고 우리 시스템 개혁을 해야 하는데 이분들이 하시는 걸 보면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라며 “임대차법 같은 경우 집을 가진 사람을 저렇게 죄인 취급하고 좀 더 좋은 집에 살고 싶다는 사람들의 주거 상승 욕구를 집이 있으면 됐다는 식으로 징벌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치인은 도덕성이 중요한데 그런 의미에서 586 운동권은 시대적인 유효성을 다했다”라며 “운동권이라고 매도돼서는 안 된다고 하는데 매도하는 게 아니라 지금 시대에 맞는 정치를 못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운동권을 잡을 게 아니라 물가 잡고 경제 잡는 게 여당의 할 일’이라는 민주당측 비판에 대해서는 “다 순서가 있다. 지금 한동훈 위원장이 총선의 콘셉트, 어떤 시대에 맞는 정치라는 것을 인물 라인업을 짤 때까지는 얘기하실 것 같은데 정책에 대한 얘기를 당연히 해야 하고 국민들 앞에서 그걸로 붙어야 하지만 그건 라인업이 만들어진 다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동훈 위원장이 총선 시작할 때 격차 해소라는 화두를 던졌는데 그 부분이 굉장히 중요한 총선의 콘셉트가 될 것”이라며 “지금 생산성이 떨어지고 쇠락하는 것도 맞지만 또 결정을 못하는 이유가 사회통합의 문제 때문이다. 이건 패러다임을 바꿔야 하고 그러면서 실제적으로 격차를 없애주고 그 얘기를 이번 총선에서 굉장히 많이 할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