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내 편 사면', '선택적 사면'은 이미 충분히 했다. 이번 8.15 특별사면은 달라야 한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윤 대통령이 강조한 공정과 상식, 국민 통합의 원칙에 부합해야 한다"면서 "또 다시 선택적 사면이 된다면 통합의 길은 더 멀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얄팍한 정치셈법으로 미룰 때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드루킹 댓글 조작 공모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지난 2022년 12월 형기를 5개월 남기고 특별사면된 김 전 지사의 복권 가능성에 힘을 싣기도 한다. 실제 사면ㆍ복권 대상에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 등으로 복역한 조윤선 전 정무수석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여야 형평성 차원에서 김 전 지사가 복권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사법리스크에 포위된 이재명 의원 중심으로 재편된 현 민주당에서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한 관심도는 지극히 미미한 게 사실이다.
특히 김 전 지사가 복권될 경우 친문계를 비롯한 당내 비명계 세력들이 결집할 가능성도 당내 주류인 친명계가 김 전 지사 복권을 달가워하지 않는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 현재까지 민주당이 김 전 지사 복권을 위해 당 차원에서 노력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중론이다.
앞서 전날 친명계 중진 정성호 의원은 "(김 전 지사의 이번 복권은)쉽지 않다"며 "왜냐하면 야권 분열용으로 사면 카드를 쓸 가능성이 큰데, 지금은 그 시기가 아니라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한 정 의원은 "여당에서 내년 3월이나 민주당이 약간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면서 대선을 앞두고 약간 분열의 기미가 있을 때 여권에서 김 전 지사 복권 카드를 쓸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편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지난 3~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2명 대상으로 광복절 대규모 특사에 관해 정당지지층 별로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층 60%가 특사에 찬성하는 반면 민주당 지지층 69.8%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 응답률은 2.2%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