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최근 여당 지지율이 하락세로 접어들면서 수도권 위기론이 재부상하는 가운데 '스피커'의 다변화 차원에서 유승민 전 의원 등판론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데 대해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특별히 생각해본 적 없다”고 일축했다.
27일 오후 울산 남구 신정시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한 위원장은 '유승민 역할론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냐'는 기자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유승민 역할론' 전날 국민의힘 서울권역 공동선대위원장인 김성태 전 의원이 진행자 질문에 "지금 이 시점에서는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이라고 대답하면서 불거졌다.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한 김 전 의원은 " 국민에게 어필할 수 있는 좋은 자원이면 누구든 가려서는 안 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한동훈 위원장 입에 모든 선거 전략, 메시지, 콘텐츠 등이 다 담겨 있다"며 "한 위원장에 (집중된 상황이) 부담이 있는 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혜훈 서울 중·성동을 후보는 '유 전 의원을 비롯한 스피커의 다양화 필요성' 관련 지적에 "스피커가 누가 되느냐를 갖고 선거가 좌지우지될 것 같지는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전날 BBS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 (나경원, 안철수 등) 5명의 공동선대위원장이 있고 또 인요한 위원장이 비슷한 목소리를 (내는 등) 다른 대형 출력의 스피커가 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유승민 카드'는 현 상황에서 쓰기 힘들다는 분석도 나왔다.
진중권 광운대 교수는 지난 26일 CBS 라디오에서 "한 위원장은 (유 전 의원을) 쓰고 싶어도 쓰기 힘든 카드"라며 특히 TK(대구·경북)정서를 지목해 "그렇지 않아도 몇 지 중도확장적 정책을 펴다 보니 그쪽에서 반발들이 있는데 만약 여기에 유 전 의원까지 쓰면 반발이 또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석준 선대위 종합상황실 부실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내에서 그런 얘기(유승민 역할론)가 나오는데, 현재까지 (선대위 합류를 위한) 소통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편 유 전 의원은 28일 이번 총선 들어 처음으로 측근인 유경준 후보(경기 화성정) 지원 유세에 나선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