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에서는 송파구와 강동구가 저가매물이 출현하면서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고 강남구와 서초구는 조용한 분위기는 마찬가지지만 아직 급한 매물이 많지 않아 소폭 상승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9월 한달 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0.05%를 기록하면서 보합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1.64%)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연출했다.
서울 재건축 매매가 변동률은 0.02%로 간신히 오름세를 이어갔다. 강남권 역시 0.01%로 힘겹게 상승세를 유지했다. 강남권 중에서는 송파구(-0.41%)와 강동구(-0.04%)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서초구(0.31%)와 강남구(0.06%)는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 외 지역에서는 영등포구(2%)로 상승세가 눈에 띄었으며 강서구(-0.17%)는 약세를 나타냈다.
송파구는 DTI 규제로 강동구 등 인근 지역에서 진입하려는 수요가 크게 줄었고 자금출처 조사 시행으로 외부 투자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매물이 크게 늘지는 않았지만 간혹 저가 매물이 한 두건씩 거래되다보니 올 들어 처음으로 내림세를 기록했다.
잠실동 주공5단지 113㎡가 4천5백만원 내린 11억9천만~12억2천만원, 가락동 가락시영1차 42㎡가 2천5백만원 내린 5억7천만~6억원.
강동구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다만 그동안 DTI가 적용되지 않던 터라 이에 대한 영향으로 고덕주공, 둔촌주공에서 시세보다 1천만~2천만원 싼 매물들이 본격적으로 출현하기 시작했다.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59㎡가 1천5백만원 내린 7억8천만~8억원이다.
반면 서초구와 강남구는 소폭이지만 오름세를 유지했다. 서초구와 강남구 모두 9월 들어 시장이 주춤해지는 분위기로 단기간 너무 올랐다는 매수자와 추석이후 시장을 지켜보겠다는 매도자들의 힘겨루기가 팽팽한 상태다.
서초동 무지개 등 서초동 일대 단지들은 거래도 한 두건씩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소폭 오르기까지 했다. 반포동 주공1단지 72㎡가 3천5백만원 오른 12억2천만~12억원, 서초동 무지개 128㎡가 3천만원 오른 10억~11억원.
강남구는 월초 거래가 이뤄져 소폭 상승했지만 전달대비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다. 개포동 주공1단지 등 저층 재건축단지를 중심으로 전달대비 5백만~1천만원 떨어진 매물이 등장했고, 대치동 은마 등 중층단지도 당분간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짙어졌다.
개포동 주공1단지 36㎡가 1천만원 내린 7억3천만~7억8천만원.
반면 이달에는 영등포구의 선전이 돋보였다. 신길동 남서울, 문래동2가 남성처럼 규모가 크지 않은 단지들이 오름세를 기록했기 때문.
신길동 남서울 56㎡가 7백50만원 오른 2억4천5백만~2억6천만원. 문래동2가 남성 69㎡가 2천만원 오른 2억5천만~2억8천만원.
경기도 재건축 매매가 변동률은 0.37%로 전달(0.84%)에 비해 역시 상승폭이 반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하락한 곳은 한곳도 없었다. 지역별로는 전통적으로 재건축 인기지역인 과천시(0.50%), 성남시(0.45%)의 강세가 지속 됐으며 안산시(0.98%)도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과천시는 강남권 재건축 시장의 영향을 받아 매수문의가 크게 줄었다. 그러나 매도자들은 강남권에 비해 시세상승 폭이 크지 않았고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워낙 커 호가를 오히려 올리고 있다.
원문동 주공2단지 52㎡가 1천만원 상승한 7억5천만~8억2천만원, 59㎡가 1천만원 상승한 8억5천만~9억2천만원.
성남시는 신흥동 일대 재건축 단지 매매가가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5~6월 반짝 거래가 이뤄지며 저렴한 매물들이 정리되면서 매도호가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상승한 것.
신흥동 통보8차 66㎡가 1천만원 상승한 2억~2억2천만원, 주공 102㎡가 5백만원 상승한 5억8천만~6억1천만원.
안산시는 고잔동 중앙주공1단지와 2단지가 상승세다. 고잔동 중앙주공2단지가 지난 7월 24일 조합설립인가를 받는 등 재건축 사업에 탄력을 받아 매물이 꾸준히 소진되고 있다. 추석을 목전에 두고 매수세가 조금 뜸한 편이지만 거래는 종종 이뤄지고 있다.
고잔동 중앙주공1단지 83㎡가 1천만원 오른 3억5천만~3억6천만원, 중앙주공2단지 83㎡가 2천만원 오른 4억6천만~4억7천만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