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는 "구와 주민들은 (공릉지구의 행복주택 시범 지구지정에) 우려와 함께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한다"고 4일 이같이 밝혔다.
구에 따르면 문화·체육시설이 전무한 주거지역인 공릉지구는 경춘선 운행으로 그동안 소외됐던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높이고자 지난 7년 동안 서울시와 긴밀하게 협의해 주민들을 위한 공연장, 북카페, 헬스장 등 복합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 곳이다.
때문에 경춘선 폐선구간의 토지 소유주(한국철도시설공단, 서울시)간 이견으로 공원화사업 추진이 지연됨에도 불구, 구가 나서 양 기관을 상대로 끈질기게 설득해 지난해 12월 양 기관의 MOU를 체결, 토지 무상사용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후 시가 경춘선 폐선부지 6.3km 구간에 대해 ‘자전거길 및 공원조성’을 위한 착공식을 갖고 본격적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구는 "행복주택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신공덕역사 부지는 오랫동안 경춘선 운행으로 소음과 분진 등으로 고통을 받았던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복합문화시설 건립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주민들의 기대가 큰 곳"이라며 "노원구에는 공공 임대아파트가 2만4,374호로 서울시 전체 16%를 차지해 25개 자치구중 가장 많은 임대아파트가 있어 자치구간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행복주택 건립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릉지구에 추진 중인 행복주택은 200세대로 전체 건립예정인 1만50세대의 불과 2%에 해당돼 행복주택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제기된 곳"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구는 "공릉지구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자 국토부가 인근 서울과기대 등 대학생을 위한 주택으로 건설한다"며 대학생을 위한 행복주택으로 콘셉트를 바꿨다는 것에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과기대에 525실 규모의 기숙사를 광운대에 434실 규모의 기숙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해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이번 공릉지구 행복주택 시범지구 지정을 강행하는 것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 추진에 대해 심히 유감스럽다”며 “정부에서 추진 중인 공릉동 행복주택 건립 철회를 거듭 요구하여 우리 구 의견이 중앙정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공릉지구 행복주택 지구지정과 관련해 지난 5월 국토부의 공람·공고를 거부하고, 국토부에 3차례 반대의견을 제출했다.
노원구의회 역시 행복주택 건립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고 국토부에 제출했으며 주민 5161명의 반대 서명을 청와대와 국토부에 전달해 구와 주민들의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대우 기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2동 정책로드맵 발표](/news/data/20251127/p1160279335926688_516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황매산 억새축제’ 14만명 방문](/news/data/20251126/p1160278931824542_709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중구, ‘남산자락숲길’ 개통 1주년](/news/data/20251125/p1160278755865289_87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고양시, 민선8기 재해예방사업 속속 결실](/news/data/20251124/p1160278886650645_390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