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비선개입·靑외압 총공세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12-17 17:16:1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은 17일 비선실세 국정농단 의혹과 이를 무마하기 위한 청와대 외압 의혹을 강력 규탄하면서 총공세를 펼쳤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국회에서 '비선실세 국정농단·청와대 외압 규탄 비상 의원총회'를 개최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수사 가이드라인과 검찰의 짜맞추기식 수사를 강력 비난하면서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청와대가 비선실세 국정농단의 진실을 감추기 위해 실체도 없는 7인회를 만들어내더니 이젠 '자백을 해라. 그러면 기소하지 않겠다'고 한모 경위를 회유했다고 한다"며 "거짓말이 또 다른 거짓말을 낳고 있다. 회유와 협박이 진실을 가리려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청와대는 거짓의 늪에서 빠져 나와야 한다"며 "국민이 국회를 주목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무조건 감싸기를 중단해야 한다. 감싸기도 한 두 번이고 감쌀 것도 따로 있다.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실 밝히기 위한 국회 차원 논의에 새누리당이 즉각 나서줄 것을 강력 촉구한다"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청와대 비선실세의 국정농락과 회유압박 의혹은 밝히지 않으면 안 될 가장 중대한 국정현안이 되고 있다"며 "특검은 여론조사에서도 물러설 수 없는 선까지 왔다. 국정농단 사실을 은폐하려고 국회 운영위 소집을 방해하는 여당이야말로 국정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비난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청와대와 여당이 나라를 마비시키는 국정농단 의혹을 밝히기 위해 오늘이라도 운영위 즉각 실시해야 한다. 이게 최우선 임시국회 과제"라며 "그러면 법안심사든 뭐든 동시에 다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박범계 진상조사단장은 "검찰이 만들어낸 수사프레임이 있다. 유출의 시작과 끝은 최경위, 한경위란 전제 하에 청와대, 조응천, 박관천, 다 속았다는 프레임"이라며 "청와대는 속은 바 없다. 청와대는 박지만, 조응천, 박관천으로 연결되는 7인회가 이 유출의 배후인 것처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박범계 단장은 한경위 회유설과 관련, "(청와대가) 진짜 두려워하는 건 유출경위다. 정권에서 있을 수 없는 유출이 뭉텅이 째로 벌어진 것"이라며 "청와대가 대통령 말마따나 대대적으로 감찰했다면 유출경위와 관련한 것일 것이다. 그래서 7인회를 만들었는데 실체가 없다는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이언주 의원은 "정윤회문건의 검찰수사 결과가 결국 문서내용은 허위이고 문서유출은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으로 잠정 결론났다"며 "내용은 찌라시라더니 문서유출은 유죄라 한다면 찌라시관리법 위반"이라고 가세했다.

이언주 의원은 "왜 대통령께서 화가 나지 않나. 대통령이야말로 그들의 국정농단에 대해, 그들의 추악한 암투에 대해서 본인이 가장 크게 분노하셔야 되지 않나"라며 "자기 자신을 농단한 것인데 그 분들을 그 자리에서 물러나게 해야 한다. 비서관 측근들을 과감히 쳐내고 국무위원들과 국민들과 직접 소통하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박수현 의원은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청와대 공식문서를 찌라시로 매도하고 찌라시 문서유출이 국기문란행위라며 문서유출자 색출에 검찰을 내세우고 전가의 보도처럼 쓰고 있는 종북 덮어씌우기로 국민의 시선 돌려보려 하지만 사건의 본질은 변하지 않고 국민은 결코 속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현 의원은 "박근혜정권에게 기대할 것은 더 이상 없다. 모든 것의 책임은 대통령에게 있다"며 "문서유출이 국기문란이라면 국정농단과 측근들의 패거리 권력암투는 국가를 뒤흔드는 반국가적 행위다. 대통령 사과로 끝날 일이 되지 않았다. 그 수준을 넘었다"고 즉각적인 특검 실시를 주장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이날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청와대의 검찰수사 외압 규탄 결의문'을 통해 "진실을 규명해야 할 검찰은 청와대 지침에 따라 '국정농단은 없고, 문서유출만 있다'는 식의 짜맞추기 수사결론을 준비하고 있고, 청와대는 진실은폐와 축소에 급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짜맞추기식 청와대 하청 수사 중단 ▲국회 운영위 소집과 청문회 개최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재만, 정호성, 안봉근 '문고리 권력 3인방' 사퇴 ▲특별검사 도입 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