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MB 청문회 출석’, ‘국조 연장’ 두고 극명한 입장차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4-07 15:35:4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권성동, “이명박 대통령 출석 요구는 한마디로 정치공세”
홍영표, “자원외교 관련 많은 의혹 제기, 해명하는 게 도리”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 특위 활동이 마무리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특위 활동 연장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청문회 출석 문제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최근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본인이 청문회에 출석할테니 이명박 전 대통령도 출석하라고 요구했고, 이를 위해 국정조사 기간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새누리당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 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지난 6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야당의 이명박 전 대통령 출석 요구에 대해 “한마디로 정치공세”라고 비판했다.

권 의원은 문재인 대표의 발언과 관련, “문재인 대표는 전직 대통령 비서실장 자격으로 우리가 증인으로 신청한 것이다. 대통령과 대통령 비서실장은 하늘과 땅 차이인데 어떻게 같은 레벨에서 놓고 논할 수 있겠는가”라며 “야당에서는 그 제안을 하더라도 여당에서 수용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면서 마치 문재인 대표가 출석할 의사가 있는 것처럼 정치적 쇼를 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증인 출석을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우선 정부든 간에 주요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은 해당부처인데 4대강 사업 같은 것은 정권 차원에서 수립된 정책이라고 봐도 되지만 해외자원개발 정책은 특정 정권의 정책은 아니다”라며 “김대중 정권에서부터 MB정권에 이르기까지 일관돼 온 정책인데 그 정책에 대해 집행과정에서의 잘잘못을 갖고 그 최고국정책임자를 불러 묻는다는 것은 나라 체면도 말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또 그 다음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닌데 유독 그 정책의 잘잘못을 따지려면 그 정책을 수립했던 장관들만 불러도 충분히 해결이 가능한데 굳이 대통령을 부르자는 것은 그야말로 야당의 정치공세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조사 기간 연장 부분에 대해서도 “연장을 하더라도 증인 채택과 관련해 서로 여야 간 협상할 여지가 있으면 연장하는 게 의미가 있다고 보지만 연장을 하고도 증인협상과 관련해 지금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라며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특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홍영표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자원외교 정책과 연관된 많은 의혹들이 제기됐고, 거기에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민 앞에서 해명하는 것이 도리일 것”이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청문회 출석을 거듭 촉구했다.

홍 의원은 “이번에 국정조사 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출석해야 하는 수많은 이유들을 발견했다. 우선 감사원에서 발표했지만 이런 정책에 대해 대통령은 국정에 무한 책임을 지는 자리이고, 대통령이라고 해서 그 과정에서의 불법이나 편법을 통해 정책을 집행하다가 문제가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공세’라는 여당측 비판에 대해서는 “저희들은 이 국정조사가 시작할 때 정치공세라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사실에 근[시민일보=전용혁 기자]거해 대통령이 출석해야 하는 이유를 축적해 온 것”이라며 “저희들은 지금 국정조사기간 내내 저희들이 밝혀낸 사실만 가지고도 이명박 대통령은 나와서 국민 앞에 진실을 말해야 하는 것이 도리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새누리당에서는 사실 이명박정부나 박근혜정부 다 새누리당의 정부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실정을 덮어두고 가야 하겠다는 원칙을 내부적으로 세우고 있기 때문에 지금 성사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사실 19대 들어와서 국정조사가 여섯 번 째인데 지난 다섯 번을 단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그것은 실체적 진실을 밝히고 입법부로서 국정에 대해 관리감독 하는, 또 견제하는 역할을 우리가 스스로 포기했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국조특위 활동기간 연장 문제에 대해서는 “여야 간에 합의만 하면 별다른 절차가 없이 연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일단 연장해서 우리가 청문회 핵심증인 문제를 더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