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회의원 특권 줄이고 명예직 가깝게 가야”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8-26 13:54:4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가장 권위주의적인)국회가 변해야 대한민국이 한 단계 올라간다. 선거 승리보다 국익을 생각해야 한다. 북유럽에 가 보니 의원들에게 특권은 없고 할 일만 많아서 '3D' 기피 직업이라고 하더라."

박근혜 정부 초대 총리로 1기 내각을 이끌었던 정홍원 전 총리가 26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도 국회의원 특권을 줄이고 명예직에 가깝게 가야 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지난 2월 퇴임한 정 전 총리는 퇴임 직후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거나 로펌행을 선택할 것이란 당초예상과 달리 지난 6월부터 노숙인들을 위한 농장 자활 지원 활동과 무료 급식 봉사를 하는 등 ‘봉사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는 ‘왜 변호사 일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법원장, 검사장 같은 고위 공직자는 퇴직 후 변호사 등을 하지 말아야 한다"며 "공직자로 명예를 얻은 사람이 돈까지 추구하면 안 된다"고 답변했다.

총리 임기 중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를 많이 했던 것으로 알려진 정 전 총리는 “자꾸 불통 논란이 일어서 (박 대통령에게) '현장에 자주 가고 장관들도 만나서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시라'고 건의했다. 대통령은 '보이기 위한 것은 안 좋다'고 했지만, 이후 장관들을 사회·경제 분야 등으로 나눠서 불러 얘기를 들었다”며 “그런데 이런 게 (언론에) 노출이 안 돼 모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른바 '청와대 3인방' 논란에 대해서도 “수많은 자료와 보고가 올라오는 상황에서 3인방 얘기만 듣고 정책이 결정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사실도 아니다”라며 3인방이 각종 보고를 취사선택해 올린다는 이야기는 천만의 말씀”이라고 일축했다.

공직자의 부정·부패 문제에 대해선 "정부가 아무리 일을 잘해도 공직 사회 부패가 생기면 도루묵이 된다. 과거 정부에선 초반에 부패 척결을 외치다 경제를 핑계로 흐지부지되는 일이 반복됐다. 현 정부뿐 아니라 다음 정부까지 이어지는 부패 방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최우선적으로 공직자들이 '갑(甲) 의식'을 버려야 한다. 국민에게 봉사하는 서번트(servant)가 대접받고 생색내고 대가 받을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