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관 항만의 1/3이 방사성 오염물질 유입 무방비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10-11 12:13:4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전용혁 기자]후쿠시마 사고로 방사성 오염물질 유입에 대한 국민 불안이 높은 가운데, 국내 통관 항만 세 곳 중 한 곳에서 방사성 오염물질 감시의 필수장비인 방사선 감시기 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장병완 의원이 11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15개 주요 항만 중 10곳에만 73대 방사선 감시기가 설치돼 있지만, 고현ㆍ장항ㆍ대산ㆍ동해묵호ㆍ삼천포항 등 5곳에는 현재 감시기가 미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미설치 5개 항만의 화물 물동량(2014년 기준)은 전체 물동량의 약 10%(9.98%)인 7184만5000톤에 달했다.

특히 대산항의 경우 방사성 오염 우려가 큰 일본산 고철 등 재활용 고철 1만톤이 수입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전체 항만의 방사선 감시기 설치율도 필요 감시기 대비 57.9%인 것으로 확인돼, 방사선 감시기가 설치 된 항만도 충분한 수의 감시기가 설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항항과 마산항은 방사선 감시기 설치계획 대비 설치율이 각각 25%, 33.3%로 낮아, 방사성 오염물질에 대한 통관감시체계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장 의원은 “통관 항만은 방사성 위험물질 방어에 국가 최전선인 만큼 수입 물품의 방사능 검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만약 방사성 검사가 완벽하지 않아 항만이 뚫리면 국내 유통을 막는 것은 사실 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산 수입화물에 대한 방사성 오염 문제가 수차례 지적됐음에도 4년이 지난 지금까지 감시기 조차 없는 항만이 존재한다는 것은 방사성 물품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려는 원안위와 정부의 의지가 부족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8년까지 총 126개 감시기를 확보, 필요한 모든 항만에 감시기를 도입하여 방사성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