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위기가구 발굴 공공·민간서비스 연계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11-19 17:00:2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가 지난 8~10월 지역내 고시원·반지하·노후주택 등 취약가구 1573곳을 대상으로 실거주 전수조사를 실시해 이 중 위기가구 505곳을 찾아 총 634건의 공공·민간서비스를 연계했다.


19일 구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2차로 이뤄졌으며,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과 병행·추진했다.

담당 공무원과 통장, 이웃돌봄반(반장), 복지순찰대 등 총 215명의 인적안전망이 조사 대상 가구의 66.8%인 1050곳을 직접 방문·확인했다.

발굴된 505가구의 위기 상황은 ▲경제적 어려움(17.0%) ▲열악한 생활환경(11.2%) ▲질병·정신건강 문제(10.9%) 등이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동 불편 등 일상생활 유지 곤란(8.2%)도 다수 확인되는 등 중장년 및 고령 1인가구의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연령 분포는 중장년 42.9%, 노인 35.3%, 청년 21.6% 순이며 남성 비율이 65.5%로 높아 남성 가구의 취약성이 뚜렷했다. 이들은 주로 반지하(33.4%), 고시원(27.8%), 노후 다가구(21.6%)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발굴된 위기가구에는 총 634건의 서비스가 빠르게 연계됐다.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등 공적지원 122건 ▲생필품·후원(금)품 등 민간서비스 지원 199건 ▲채무·금융 상담 등 기타 313건이었다.

구는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거나 탈수급 이후 도움이 필요해진 가구도 다수 확인하고 향후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계획이다.

또 통반장, 이웃돌봄반 등 서대문구 인적안전망의 참여는 이번 조사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구 관계자는 “현장을 잘 아는 인력이 동행하면서 접근이 어려웠던 가구도 문을 열어 조사에 응했고 은둔·부재 가구도 재방문을 통해 추가 발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앞으로 구는 발굴 가구에 대한 정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상시 조사 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동별 인구·주거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발굴계획을 수립해 실거주 기반의 선제적 복지 행정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성헌 구청장은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먼저 찾아가는 것이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촘촘한 안전망 구축으로 고립과 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서대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