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PA는 이번 지식 및 인력 교류를 통해 카타르와는 카타르 신항 프로젝트 및 크루즈항인 도하항의 크루즈 운영 노하우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을 교류하고 칭다오와는 자동화터미널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교류기간 동안 부산항의 주요 항만 운영 및 카타르 및 칭다오 항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7차례의 워크숍을 개최하고 부산신항, 국제크루즈터미널 등 현장 방문도 추진한다.
이번 교류는 부산항만공사가 카타르 및 칭다오 항만 관계자를 초청해 진행되며, 금년 하반기 및 내년에는 공사 직원을 카타르 및 칭다오항으로 단기 파견해 양 항만의 항만 운영, 관리, 개발 등 우수사례를 습득하게 할 예정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카타르항을 관리·운영하는 카타르항만공사(Mwani Qatar)와는 지난 1월, 칭다오항 관리운영주체인 칭다오항만그룹과는 지난 5월 각각 교류협력 MOU를 체결한 바 있다. BPA는 이번 교류를 시작으로 양 항만과 실질적인 국제협력 단계에 들어갔다.
2022년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된 카타르는 성공적인 월드컵 개최를 위해 월드컵 경기장 건설, 교통 인프라 구축, 호텔 건설 등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에 활발히 투자하고 있으며 하마드 신항을 포함해 총 6개의 항만을 운영 중이다. 특히 카타르는 지형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2008년 신항만 건설계획인 하마드 항 프로젝트에 착수하여 신항 1단계를 2017년 9월에 개장했다.
칭다오는 북중국에서 가장 큰 종합항만이자, 세계 8위 컨테이너 항만(2018년 물량 19,315천TEU)으로서 4개의 항만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강(페리, 연안선), 황다오(유류), 치엔완(컨테이너) 및 세계 2위 규모의 광석전용부두로 개발 중인 동쟈커우 신항 등이 기능별로 구분되어 있다. 칭다오의 컨테이너항만은 치엔완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QQCT(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 QQCTU(Qingdao Qianwan United Container Terminal), QQCTUA(Qianwan United Advanced) 및 자동화 터미널인 QQCTI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항만공사 남기찬 사장은 “부산항만공사는 50여 개의 친선, 자매 항만과 향후에도 지식 및 인력 교류를 활발히 추진하여 BPA 직원들이 상기 항만 직원들과 자연스럽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글로벌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물길 따라 단풍·억새·가을꽃 풍경 만끽··· 도심서 즐기는 감성 힐링 나들이](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9/p1160271721170098_501_h2.jpg)
![[로컬거버넌스] 서울 성동구, ‘주거정책 포럼’ 개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6/p1160278518713968_660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농업 체질 개선 전방위 추진](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5/p1160278371910081_824_h2.jpg)
![[로컬거버넌스] 경기 수원시, 1인가구 지원사업 선도모델 제시](https://simincdn.iwinv.biz/news/data/20251104/p1160279219128288_343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