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당권주자들, 호남민심잡기 올인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8-17 14: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상곤 “호남 없는 정권교체 없다”
추미애 “저도 못지않은 호남 며느리”
이종걸 “文心 대변인 선출하면 필패”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8 ·27 전당대회를 앞둔 17일 당권주자들이 앞 다퉈 호남 민심 잡기에 나섰다.

광주 태생인 김상곤 후보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호남지지회복과 당중심의 정권교체를 위한 7대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호남없는 정권교체 없고 정권교체 없이는 이 나라의 미래도 없다"고 호남 민심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번 당대표 선거와 내년 대선의 관건은 호남의 압도적인 지지회복에 있다"며 "호남의 지지를 얻지 못한다면 그 후폭풍은 수도권 전체로 옮겨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더민주에 대한 호남의 지지와 신뢰가 약해진 틈에 새누리당은 정권재창출을 위해 호남 출신 이정현 의원을 당대표로 뽑았다"며 "새누리당이 '호남 당대표', '충청권 대선후보', '영남 기반'이라는 삼각편대의 지역연합을 구성한다면 정권교체가 멀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우리 당 일각에서 지역통합이 아니라 호남고립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호남을 포기하고 3자 구도에서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무책임하고 안일하며 오만한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순신 장군의 '약무호남 시무국가'(若無湖南 是無國家, 호남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는 말을 재차 인용하며 "제가 당대표가 되고 호남의 대표정치인이 될 때 호남은 비로소 복원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김 후보는 Δ민생연석회의 구성 Δ호남전략위원회 구성 Δ대구경북전략위원회 구성 Δ기존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의 '자치분권강화위원회' 겸임 Δ플랫폼 정당 TF 및 실천단 구성 Δ국가전략위원회 구성 Δ더불어민주 국가안보위원회 구성 등 7개 로드맵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기자회견 직후에도 "광주 호남은 우리 당의 뿌리지역이고 광주호남 정신은 우리 당의 핵심적인 원류"라며 "광주 호남이 우리 당을 만들어왔고 전국정당으로 발전하는데 밑받침 해왔다. 그만큼 중요하고 그만큼 회복해야 될 지역"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추미애 후보도 이날 'TBS 열린아침 김만흠입니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호남에 지지를 재차 호소했다.

추 후보는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호남의 아들을 이야기하시니까 저도 못지않게 호남며느리라고 애교를 떠는 것"이라며 "호남에 대해서 자꾸 필패론을 가중시키고 못난이 정당으로 찍어 내리는 타 후보들이 있지만 저는 오히려 자신감을 주고 열패감을 극복하고 이 집안을 화목과 우애로 더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김상곤 후보의 ‘호남홀대론’을 겨냥, "최근에 또 분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어떤 분들은 선거판에 나왔다고 해서 유언비어를 막 생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집권 시절 노무현 정부에서는 호남에 장차관을 기용하지 않았고 홀대를 했다, 그런 것에 대해서 그 때 당시에 책임져야 할 사람이 있다고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3부 요직, 의장, 대법관, 총리가 전부 호남 출신이었고 4대 권력기관, 국세청장, 검찰총장, 감사원장, 국정원장 이런 분들이 전부 호남 출신이었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전북 표심을 공략 중인 이종걸 당 대표 후보도 "이른바 문심(文心)의 대변인을 당 대표로 뽑는다면 내년 대선 승리는 어렵다"며 호남지지를 호소했다.

이 후보는 이날 전북도의회 기자회견에서 "문심에 기대서 낙점만을 기다리는 당 대표 선거로는 결코 정권교체를 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당내에 친문이 많은 것을 어쩔 수 없지만, 시간이 갈수록 (친문이 아닌) '독립연대 통합파'가 승리할 수 있는 여건이 확장되고 있다"면서 "이번 당대표 선거에서 반전이 완성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어 그는 “당 대표가 되면 당내 통합에 이어 국민의당과 통합을 이뤄내겠으며, 나아가 더민주의 정체성과 강령에 맞는 모든 세력과 연대해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이 후보는 전북 발전을 위해 탄소산업 육성, 국민연금 기금본부 이전, 국가 식품클러스터 활성화, 새만금 조기 개발 등에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