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내년 대선 때 개헌 국민투표 같이 해야”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09-10 10: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지만 빨리 결론나진 않을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여야 국회의원 185명이 국회 차원의 개헌추진 의원 모임을 결성하는 등 본격적인 개헌 논의에 돌입한 가운데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내년 대통령 선거 때 헌법 개정 국민투표를 같이 붙이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헌추진모임 새누리당 간사인 권 의원은 9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개헌 시기를 묻는 질문에 “저희들 입장에서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겠지만 그렇게 빨리 결론이 날 것 같진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치 활동의 최일선에서 일하고 있는 국회의원들 입장에서 현행 헌법 체계, 즉 통치구조가 한계와 효용성을 다했다는데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보고 있다”며 “헌법이라는 게 대한민국을 발전, 성장시키고 국민들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현재의 그런 승자독식의 제왕적 대통령제로는 이 복잡한 현재를 꾸려 나가는데 문제가 있다는데 국회의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선 이 통치구조, 정치구조 개편에 의원들의 관심이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인데 또 일부 의원들께서는 기왕 손대는 김에 기본권 조항이라든가 지방자치 조항도 좀 수정을 해야 할 것 아닌가 하는 의견들이 있다”며 “아마 대다수 의원들은 통치구조부터 손대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의사표시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개헌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통령 임기는 5년인데 임기내 이 개헌 문제가 부각이 되면 모든 것을 다 빨아들인다는 의미에서 사실상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 국민들 의식수준이 높아서 경제와 민생 문제를 따로 챙기고 개헌 논의도 병행해서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또 개헌 논의가 시작된 지 한 10년이 지났기 때문에 논의사항은 다 돼 있고, 이제 결단만 남아 있다”며 “우리 국회에서 민생 문제는 민생 문제대로 챙기면서 개헌 문제를 논의하고, 또 이것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굳이 반대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정현 당 대표가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개헌을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특정 정파나 정당이 주도하는 개헌은 반대하지만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가운데서 정치세력과 사회재야단체가 참여하는 개헌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게 맞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