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전경련 해체하라”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10-05 12:03: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박영선, “정경유착의 대표적 표상”
심상정, “정권 심부름센터로 전락”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전경련이 논란이 되고 있는 미르ㆍK스포츠재단을 해체하고 다른 재단을 만들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와 관련해 전경련을 향한 비난의 목소리가 야당내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5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전경련은 이제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전경련의 설립 목적을 보면 ‘자유시장경제를 창달하고 건전한 국민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을 표방하고 있는데 전경련은 정경유착의 대표적인 표상이다. 정경유착이라는 건 곧 민주주의와 시장 질서를 가장 해치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전경련이 설립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그는 “그러면 전경련이 지금 이런 일을 처음 하는가, 그건 아니다. 전경련은 1988년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을 주도적으로 나서서 모금했고, 1995년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을 제공했다. 또 1997년에도 세풍사건, 2002년도에도 불법대선자금 등과 관련해 끊임없이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번에 또 미르재단 사건이 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경련이 사회공헌기금이라고 해서 약 3조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사회공헌기금이 로비자금, 압력단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완전히 변질돼 가고 있다”며 “전경련이 이런 건강한 자본주의 시장 경제 확립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전경련을 해체할 때가 됐다”고 거듭 밝혔다.

그는 ‘대체 기구는 필요하지 않은가’라는 질문에 “대부분의 나라들이 상공회의소를 운영하고 있다. 상공회의소가 재벌기업과 중소기업, 우리나라의 모든 기업 활동의 대표적 역할을 하는 것이고, 미국에도 이런 상공회의소 제도가 있다”며 “그런데 전경련과 같은 유사한 단체를 운영하는 나라는 아마 우리나라와 일본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 역시 이날 “전경련은 더 이상 경제단체가 아니고 정권의 심부름센터로 전락한 만큼 빨리 해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대표는 이날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미르ㆍK스포츠재단의 해산 방침은)한마디로 증거인멸, 꼬리자르기”라고 비판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악덕기업주들이 체불하고, 잘못하고, 법적으로 문제가 될 것 같으면 위장폐업으로 명의만 바꾸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그동안 수입지출 내역을 인멸하고 청와대 비선 실세들이 이 재단에 개입했던 흔적을 지우겠다는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제가 한심스럽게 생각하는 건 전경련이 두 재단에 대한 해산과 토합을 말할, 주도할 법적 권한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그동안 전경련이 권력의 수금책 역할을 했었는데 이 사단이 나니까 뒤처리까지 다 떠맡은 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경련 회원사들의 탈퇴 권고 내용을 담은 국가미래연구원의 공동성명에 대해서는 “진보정당의 주장만이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공감대가 매우 크고 보수진영에서조차도, 또 경제계에서도 전경련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경련은 오랜 역사 속에서 정경유착의 온상이고 부패의 상징으로 둔갑돼 있다”며 “이제는 사용자 단체로 경총이 있고 모든 기업 회원사를 거느린 상공회의소가 대표적인 기업 단체로 있는데 그런 점에서 구시대의 유물인 전경련은 빨리 해체하는 게 다른 기업들에게도 부담을 덜 주는 일”이라고 거듭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