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누리특별자치도를 줄이면 '평누도민', 그냥 '평민'으로 불러야 하느냐.”
“이름부터가 종북 명칭이며,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풍자할 우스꽝스러운 이름이다.”
“이름이 촌스러운 데다 이름으로 경기 북부를 차별하는 것 같다.”
“지명보다는 북한이 떠오른다.”
“600년 전 세종실록에 '경기북도'와 '경기남도'라는 말이 사용됐다. 경기북도가 근본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특자도)의 새 이름이 ‘평화누리특별자치도’로 정해졌다는 소식에 대한 국민의 반응은 이처럼 부정적이다.
특히 경기도민청원 홈페이지에는 2일 오전 현재 ‘평화누리자치도를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올라 있으며, 이미 2만여 명이 넘는 동의를 얻었다.
전날 올린 이 청원 글은 불과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청원 답변 요건인 1만 명의 동의를 두 배 이상 훌쩍 넘어선 것이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서도 경기북부 명칭 변경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번지고 있다. 엑스(X·옛 트위터)에서는 한때 ‘특별자치도’가 실시간 트렌드 순위 2위에 오르기도 했다.
경기도는 전날 오후 의정부 북부청사 평화누리홀에서 김동연 지사와 정성호·박정·김병주 국회의원, 김동근 의정부시장,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도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 이름 대국민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북부특별자치도 새이름 대국민보고회로 경기도는 라스트 마일 구간에 들어갔다. 흔들림 없이 마지막 결승선까지 뛰겠다는 각오를 다시 한번 밝힌다"라면서 "북부특별자치도 이름이나 또는 법을 통과시키는 것은 어디까지나 경기북부의 성장잠재력을 키워서 국제적으로도 크게 번영하는 곳으로 만들기 위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김 지사의 생각에 불과했다. '평화누리특별자치도'라는 새 이름을 두고 경기북부 주민들과 온라인커뮤니티에서는 혹평과 비난이 쏟아진 것이다.
대체 이 촌스러운 이름은 누가 지은 것인가.
앞서 경기도는 새로운 이름을 짓기 위해 지난 1월 18일부터 2월 19일까지 대국민 공모전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구에 거주하는 신 모씨가 제출한 ‘평화누리’가 대상을 받았다. 신 씨에게는 1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한마디로 경기도민도 아닌 다른 지역 사람이 경기도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이름을 붙였다는 것인데, 이웃 사람이 내 자식의 이름을 촌스럽게 ‘개똥이’라고 지었고, 그걸 좋다고 희희낙락하며 1000만 원이라는 엄청난 작명비까지 건네주는 정말 우스꽝스러운 일이 경기도에서 벌어진 셈이다.
이러니 경기도민들, 특히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반발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대체 김 지사는 왜 이렇듯 불필요한 일을 추진하고 예산까지 낭비한 것일까?
아마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자신의 업적으로 남기려는 욕심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 욕심 탓에 그냥 순수하게 ‘경기북도’라고 하면 될 것을 촌스럽게 ‘평화누리도’라고 작명하는 기괴한 행위를 했을 것이다.
이런 행위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걸림돌이 됐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렇지 않아도 경기도가 지난해 9월 행안부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주민투표 승인을 신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제 출범까지는 몇 가지 관문이 남아 있는 상태인데 이제는 새 이름에 반발하는 주민들까지 설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딱한 처지에 놓인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경기도민 청원은 의견 수렴 기간 30일 동안 1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으면 지사가 청원에 대해 직접 답변해야 한다. 30일 동안 기준치를 넘지 못하는 청원이 부지기수인데 하루 사이 답변 인원을 충족한 것은 이례적인 사례다. 그만큼 반발이 거세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지명은 대부분 지역에서 유래됐다. 예를 들어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 경상도는 경주와 상주를 뜻한다. 하지만 평화누리는 지명보다는 북한이 먼저 떠오른다. 바람직한 이름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가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변명하지 마라. 새 이름 공모에 대해 무조건 사과하고 즉각적인 백지화를 선언하라.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