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남북당국자 회담 제의가 잠정 실패로 돌아간 가운데 북한이 닷새만인 16일 국방위원회 대변인 중대담화를 통해 북미 당국 간 고위급 회담을 전격 제안하면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달말 예정인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최대이슈인 비핵화 문제까지 직접 거론하면서 회담제의가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북한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중대담화를 통해 "조선반도의 긴장국면을 해소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이룩하기 위해 조(북)미당국 사이에 고위급회담을 가질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북한 국방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조미 당국 사이의 고위급 회담에서는 군사적 긴장상태의 완화 문제,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바꾸는 문제, 미국이 내놓은 '핵없는 세계 건설' 문제를 포함해 쌍방이 원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폭 넓고 진지하게 협의할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대변인은 "회담 장소와 시일은 미국이 편리한대로 정하면 될 것"이라며 "미국은 진정으로 '핵없는 세계'를 바라고 긴장완화를 원한다면 차려진 기회를 놓치지 말고 우리의 대범한 용단과 선의에 적극 호응해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사태발전은 지금까지 조선반도 정세를 악화시켜온 미국의 책임적인 선택에 달려있다"고 비난했다.
대변인은 "핵보유국으로서의 우리의 당당한 지위는 그 누가 인정해주든말든 조선반도전역에 대한 비핵화가 실현되고 외부의 핵위협이 완전히 종식될 때까지 추호의 흔들림도 없이 유지될 것"이라며 "우리의 비핵화는 남조선을 포함한 조선반도전역의 비핵화이며 우리에 대한 미국의 핵위협을 완전히 종식시킬것을 목표로 내세운 가장 철저한 비핵화"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대화국면을 열기 위해 우리더러 비핵화의지의 진정성을먼저 보이라고 떠들기 전에 우리에 대한 핵위협과 공갈을 그만두고 제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도발부터 중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번 북미회담 제의는 남측에 대한 대화제의가 '격'문제를 놓고 실패하자 2단계 조치로 미국과의 접촉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히 북한이 비핵화 논의 가능성까지 거론한 것은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북한 국방위원회 대변인이 처음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이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미국에 상당히 강한 대화 의지를 나타냈다는 점에서다.
따라서 그동안 완강히 거부해온 비핵화 문제를 먼저 거론함으로써 미측의 적극적인 반응을 끌어내려는 북측의 의도가 강하게 깔려 있어 보인다.
그러나 북측이 선제적으로 핵 포기를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대응에 따라 결정을 하겠다는 것이어서 실현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민장홍 기자mjh@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