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대변인 "최초 사건 발생때 지금과 같은 간악한 행위 파악 안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부대내 가혹행위로 인한 윤 일병 사망사건을 둘러싸고 ‘조직적 은폐’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잘못된 보고의 문제일 뿐”이라며 의혹을 일축하고 나섰다.
김 대변인은 5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최초 이 사건이 벌어졌을 때는 지금과 같은 아주 간악한 행위가 파악되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육군총장, 국방장관에게는 기도가 폐쇄돼서 뇌손상으로 숨졌고, 선임병들에게 구타를 당했다는 내용만 있었다”며 “사건을 진행하면서 수사를 해보니까 입에 담기 어려운 행동들이 있었던 것이지, 그것을 실무 수사진에 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 차례 심리공판이 진행됐음에도 구체적인 폭행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 “당시 법무장교들이 그런 내용을 파악했을텐데 했으면 당연히 보고해야 되지 않겠는가. 보고하면 저희들이 언론에 국민들에게 당연히 공개를 해야 하고 그에 합당한 조치를 해야 하는데 그러한 것이 없었다는 것에 대해 안타깝다”며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나 하는 생각도 든다”고 질타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쨌든 이런 문제가 있으면 군이라고 하는 것은 보고가 가장 우선이다. 상황을 잘못 보고하면 작전할 때 작전이 그르칠 수 있고 엄청난 파장이 있을 수 있다”며 “군은 보고가 기본인데 그 보고를 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엄중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장병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군내에서 안심하고 신뢰성 있게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한데 기본적으로 간부, 장병 모두 인권교육, 그리고 군법 교육을 받아야 하고 항상 이런 문제가 잘 보고되고 감시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이런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며 “병영 문제, 보완할 점들을 민간 군위원회를 통해 여기에 현역병사, 전역한 병사, 부모 등을 포함시켜 세세히 시스템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야당 정치권은 이번 사건과 관련, 군의 ‘조직적 은폐’ 의혹을 제기하고 나선 상황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유족들에게 수사기록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현장검증에 유족들이 입회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들이 다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국방부 장관은 부임한 지 한 달이 지나도록 이 사건의 구체적 내용을 보고받지 못하고 언론의 보도를 통해서 알았다고 하는 것인데, 이 문제가 이토록 심각함에도 군이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이고 보고하지 않은 것은 이 사건을 은폐하려고 했기 때문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또 오늘(5일) 언론보도에 의하면 이 사건이 발생한 뒤에 사건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단본부가 장교들의 휴대전화를 일제히 수거했다는 것”이라며 “군이 투명하게 공개해서 국민들 앞에 소상하게 보고하고 국민의 의지를 모아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의지가 없다, 우선 책임을 면하는데 급급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강하게 가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건에 대한 문책의 범위에 대해 “군이 지금까지 16명을 징계했다고 하는데 어제(4일) 국회에서 질타가 있자 28사단장을 보직 해임시켰다”며 “그 위에 6군단이 있고 그 위에는 3군 사령부가 있는데 그 위에 육군참모총장까지를 포함해 군 수뇌부에 대한 문책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