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다른 때와 마찬가지로 인근을 지나는 항공기 안전을 위한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하지 않은 채 발사체를 쐈으며 사거리는 220여㎞ 내외로 판단된다.
합참 관계자는 "발사체는 대구경 방사포로 보이지만 어떤 것이라고 찍어서 말하기는 어렵다"며 "지난번에 언급했던 새로운 종류의 신형 전술미사일이나 스커드 미사일의 사거리를 조정한 것인지 현재 정밀 분석을 하고 있다. 신형 300㎜ 대구경 방사포와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사체 종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정확히 하기 위해 종류를 분석하고 있다"며 "발사 의도는 지난 달 28일 끝난 을지프리덤가디언(UFG)과 관련해 북한이 군사적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자강도에서 발사체를 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이번이 처음이다. 발사체가 낙하한 지역은 동해상 인근으로 추정된다"며 "어디인지 정확하게 찍기는 어렵지만 추정하기로는 지도상에서 볼 때 동해 쪽으로 툭 튀어나온 함경북도 김책시와 화대군 인근 바다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는 "사거리 등은 발사체의 궤적을 역으로 추산한 것이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 있다"며 "현재 군은 북한의 발사체 종류와 발사 의도를 분석하는 동시에 추가 발사 가능성에 대비해 감시를 강화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올해 2월21일 이후 지금까지 18차례에 걸쳐 미사일을 비롯한 단거리 발사체 108발을 발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