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담은 남북간 긴장된 상황에서 실질적 협의를 진행하자는 취지에서 북측의 요청에 따라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서해 NLL(북방한계선)을 비롯해 대북전단 살포,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 폭넓은 의견이 교환됐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북측이 지난 7일 서해 NLL에서 벌어진 남북 한정간 사격과 관련해 긴급 접촉을 제의해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을 가졌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북측에서 김영철 정찰총국장을 단장으로 리선권 국방위 정책국장, 곽철희 국방위 정책부국장이 참석했다.
반면 우리측에서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을 수석대표로 김기웅 통일부 정책실장, 문상군 국방부 군비통제차장이 대표로 참석했다.
북측은 이번 회담에서 서해 경비계선내 우리 함정의 진입금지를 비롯해 민간 차원의 대북전단 살포 중단, 언론을 포함한 비방 중상 중지 등을 요구했다.
이에 반해 우리측은 NLL 존중 및 준수를 비롯해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특성상 민간단체에 주도하는 풍선날리기 및 언론 통제 불가라는 기존 입장을 전달했다.
특히 우리측은 5.24 조치 해제와 관련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이 북측의 책임이라는 점을 북측에 상기시켰다.
이와 관련해 김 대변인은 “(이번 회담은) 남북이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지가 있어 매우 진지하게 이뤄졌지만, 상호 간 입장 차이가 있었고 이를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결국 남북간 최근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지만 기존 남북간 입장차만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번 남북 장성급 회담은 지난 2007년 12월 이후 약 7년만이며 실무회담으로도 지난 2011년 2월 이후 3년8개월 만이다.
앞서 이날 정부는 이같은 회담에 대해 사실상 모르쇠로 일관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이 열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날 <시민일보>와 전화통화에서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도 "회담이 관련 회담이기 때문에 국방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맞다. 우리측(통일부)에서 해 줄 말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정부의 비공개 입장에도 불구,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주도한 강경파로 알려진 김영철 북한 정찰총국장이 북측 대표로 참여한 것이 알려지면서 서해 NLL을 비롯해 대북 전단 살포, 5.24 조치 해제 등이 회담 주요내용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 측 관계자는 "오늘 오전 10시부터 판문점에서 남북 고위급접촉 실무회담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남북은 지난 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과 우리 측 함정 간 교전 직후 북측의 전화통지문을 계기로 회담을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