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우리 정부가 북한 핵실험 가능성에 주목하고 나섰다.
이는 북한이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된 것과 관련해 핵실험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0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인용해 "지난 18일 유엔총회 제69차회의 3위원회에서 미국은 EU(유럽연합)와 일본을 내세우고 강권과 정치경제적 압력으로 거수기를 긁어모아 반공화국 인권결의를 강압통과시키는 엄중한 정치적 도발을 감행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거수기를 긁어모아 결의 채택에 필요한 투표수를 가까스로 채웠지만 그중 적지 않은 나라들이 인권문제 때문이 아니라 경제원조를 자르겠다는 미국과 일본의 위협 때문에 투표했다고 털어놓은 사실은 이번 결의 채택 놀음이 정치적 협잡이었음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 외무성은 "우리는 우리 인민이 선택하고 목숨보다 귀중히 여기는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제도를 전복하려는 목적으로 미국이 주도한 이번 결의의 강압통과를 대조선적대시정책의 최고표현으로 준열히 단죄하며 전면 배격한다"고 반발했다.
오히려 "미국의 대조선 적대행위가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핵시험을 더는 자제할 수 없게 만들고 있는 조건에서 미국의 무력간섭, 무력침공 책동에 대처한 우리의 전쟁억제력은 무제한하게 강화될 것"이라며 "반공화국 인권결의의 채택으로 초래되는 모든 후과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결의 채택의 주모자, 하수인들이 책임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핵 실험과 탄도 미사일을 발사해서 한반도는 물론 전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그런 행위는 배격돼야 한다"며 "북한이 전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무모한 핵 개발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군은 만반의 대비태세를 구축하고 있고 북한의 어떠한 도발이나 위협도 용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일부 핵 시설 가동 조짐설에 대해 "(핵 시설이) 가동되면 가스 등이 포착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아직 그런 조짐은 없지만) 한미 정부 당국은 북한의 핵 시설 가동이나 운영에 대해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