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미사일 재진입 기술 확보 주장
우리 군"北 일방적 주장일뿐" 일축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북한이 '소형화된 핵탄두' 위협에 이어 15일 탄도미사일 재진입 기술까지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핵 위협을 강화하고 나섰다.
그러나 우리 군은 단순 북한측의 일방적 주장이며 대내외 핵 위협 선전 효과를 극대화 하려는 의도라고 일축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제1비서가 탄도 로켓 '전투부첨두'(탄두)의 대기권 재돌입 환경 모의시험을 지도하는 자리에서 '핵공격 능력 향상을 위해 빠른 시일 안에 핵탄두 폭발실험과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탄도 로켓 발사실험을 단행할 것'"이라며 "해당 부문에 이를 위해 사전 준비를 빈틈없이 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우리(북한)의 타격 수단들의 첨단 수준의 높이가 곧 우리 국력의 높이이고 조국의 존엄의 높이"라면서 "군수공업부문에서는 국방공업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 수준을 더욱 높여 다양한 군사적타격수단들과 주체탄들을 최상의 수준에서 더 많이 개발생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통신은 김 제1비서의 직접적인 지도에 의해 지난 수년간의 연구 끝에 국방과학자, 기술자들이 자체의 힘과 기술로 로켓 제작에 사용되는 열보호(단열) 재료들을 연구개발하고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에 반해 군 당국은 "북한의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오히려 북한의 기술적 수준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핵·미사일 위협 수위를 높이기 위한 대내외적 선전 목적이 있는 판단이다.
군 관계자는 뉴시스와 인터뷰를 통해 "북측의 주장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북한이 '핵 소형화' 기술과 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전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기존 판단에는 변함이 없다"며 "재진입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정보당국 관계자도 "탄도미사일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탄두를 고온·고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은 가장 어려운 수준의 기술"이라며 "북한이 이 기술을 확보했다고 볼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일방적인 주장을 그대로 믿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그는 "대내외적인 선전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