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거버넌스]강화군, 한눈에 보는 2023년 살림살이···부채비율 ↓ 채무 없어

문찬식 기자 / mc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09-20 09:29:0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4년 연속 회계대상에서 수상..재정운영 투명성, 건전성 인정 받아
 

지난 6월 2023회계연도 강화군 의회 결산(안)이 승인되며, 군은 한해 살림살이를 마무리했다.

강화군의 한 해 살림은 예산의 수립, 집행, 결산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한 해 살림살이를 마감하는 결산이라는 과정을 통해 지난 1년간의 재정운영을 반성하고, 개선방안을 다시 다음연도 예산정책에 반영하는 선순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군 관계자는 “강화군은 전국 243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지방자치단체 회계대상에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우수상 2회, 장려상 2회 4년 연속 수상하며, 재정운영에 투명성과 건전성을 대외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며, “군민을 위한 수요 맞춤형 재정 정책으로 펼쳐 나갈 것이며, 집행된 예산은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쉽고 투명하게 공개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시민일보>는 군의 지난해 세입과 세출, 자산과 부채 등 재정운용 상황을 살펴본다.

◆ 강화군 재정건전성 매우 좋아!


우선, 강화군 재정상황을 총괄적으로 살펴보면, 예산 규모가 비슷한 유사 지자체 인천 계양구, 경기 연천군, 경남 함안군 3개 지자체의 5년간 재정운용 상황 비교 분석 결과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건전성의 주요 지표인 부채 비율 항목에 있어 강화군은 0.69%, 유사 지자체 평균은 1.13%로, 이는 유사 지자체 대비 61%로 재무건전성의 대표 지표인 부채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채무 또한 없다. 

 


◆ 수입과 지출....총수입 8085억원, 총지출 6679억원


군의 지난 한해 총수입은 8085억원으로 전년대비 312억원이 감소했고, 총지출은 6679억원으로 전년대비 433억이 감소했다.

수입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방세와 세외수입으로 이루어진 자체수입이 925억원으로 총세입의 11.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강화군의 재정 자립도의 기초 지표가 된다.

또한, 중앙정부 및 인천광역시로부터 받은 이전수입이 5663억원으로 총세입의 가장 많은 부분인 70.04%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 기타 수입으로 전년도 이월금 등 보전 수입이 1497억원으로 총세입의 나머지 18.52%를 차지하고 있다.

지출 내역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지출한 분야는 사회복지분야로 1651억원이 지출되어 일반회계 총 지출액의 1/4 정도인 24.84%를 차지한다, 이는 점차 고령화 되어가는 우리군의 복지예산 수요를 반영한 군민 맞춤 세출 정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지난 5년간 강화군의 세입·세출 규모 변화를 살펴보면 세입이 2019년 7409억원에서 2023년 8085억원으로 676억원(9.12%) 증가했으며, 세출은 2019년 5589억원에서 2023년 6679억원으로 1090억원(19.50%)으로 각각 확대되어 살림 규모 면에서 큰 성장을 거두었다.

 

 

◆ 자산과 부채...총자산 2조 8247억원, 총부채 194억원


강화군의 2023년 12월 31일 기준 총자산은 2조 8247억원으로 전년대비 914억원이 증가했고, 총부채는 194억원으로 전년대비 9억원이 증가했다.

군의 자산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금처럼 즉시 집행 가능한 유동자산이 2125억원 ▲자금 운용을 위한 투자자산이 45억원 ▲공공서비스를 위한 토지 건물 등 일반유형자산이 2513억원 ▲주민을 위한 이용시설인 각종 편의시설, 관광시설, 체육시설 등 주민편의시설이 6329억원, ▲도로 항만 등 사회기반시설이 1조7215억원 ▲소프트웨어 등 기타 비유동자산이 20억원이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자산은 사회기반시설로 총자산의 60.94%를 차지했다.

주차장, 공원 조성 등 주민편의시설 취득 증가액이 425억원으로, 이는 정주여건 개선으로 살기 좋은 강화 만들기에 예산이 집중 투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채를 살펴보면, 총부채는 194억원으로 3년간 부채 비율 1% 이하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1년 이내 갚아야 할 부채 유동부채가 109억원이고, 그 구성은 중앙정부 및 인천광역시의 보조금 사용 잔액 과 세입세출외 현금으로 보관 중인 각종 급여 공제액 등이 있다.

또한, 1년 이내에 갚지 않아도 되는 미확정 추산 부채(기타비유동부채)로는 강화군 공무직 근로자 일시 퇴직 시 지급하여야 할 의무 금액 등 85억원이 있으며, 은행 차입금인 채무는 없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