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ha 인삼 고사 피해도... 전체 재배면적의 38%
![]() |
도에 따르면 지난 7월21일부터 8월31일까지 폭염일수가 23.1일로 평년보다 16일이나 길고, 평균기온도 28.5도로 평년보다 2.2도가 높아져 벼멸구가 급속히 확산되고, 인삼도 잎마름 등 생육 장애 피해가 발생했다.
22일 현재 도내 벼멸구 피해는 1만9603ha로, 전체 벼 재배면적 14만8000ha의 13.3%에 달한다.
시ㆍ군별로 고흥 2667ha, 해남 2554ha, 보성 1988ha, 장흥 1776ha, 무안 1500ha 등이다.
폭염에 따라 인삼 잎ㆍ줄기가 말라 죽는 피해도 발생했다. 피해 규모는 영암 68ha, 해남 42ha, 나주 19ha, 영광 5.7ha 등 총 135ha다. 전남지역 인삼 재배 면적(378ha)의 38%에 달한다.
도 관계자는 “쌀값 하락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벼멸구와 인삼 피해까지 겹쳐 농가에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이번 피해는 장기간 지속된 폭염(고온)이 주된 원인이므로 농업재해대책법 등에 따라 정부 차원의 신속한 조사와 복구비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도와 시ㆍ군에서는 벼멸구 피해를 막기 위해 긴급방제비 약 46억원을 지원,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벼멸구가 확산되면 추가로 방제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