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역사성과 지역성, 그리고 축제-연천 콩의 우수성과 장단콩

시민일보 / siminilb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4-10-09 14:19: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정겸 전 한국외대 철학과 겸임교수



지방자치의 어떤 축제이던지 그 지역의 특성과 지역의 역사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패로 끝나게 된다.


우선, 지역의 지리적 위치를 특성으로 하는 산천어 축제는 얼음 나라 화천의 산천어 축제는 참가자는 184만명에 달해 대한민국 대표축제 중 하나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특이점은 화천에 산천어가 생산되지 않아서 국내 양식 산천어의 90%가 이 축제를 위해 투입된다는 사실이다. 핵심은 얼음 축제이라는 점이다. 산천어는 없지만 지리적 특성을 제대로 살린 축제이다.

다음으로 역사성을 살린 축제로써 대표적인 사례로 콩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콩 생산지로 유명한 지역으로는 경기도 연천이 대표적이다. 식물성 단백질의 대장격인 콩은 오랫 동안 재배되어 온 식물이다. 역사성을 살린 지역 축제인 “콩” 축제를 살펴보자. 필자는 장단콩이 원류가 아니고 역사적으로 연천 콩이 원류임을 상기하면서 연천 콩을 이용한 연천의 자랑스런 축제를 제안하기 위해 글을 쓴다.

“연천 콩은 삼국시대부터 연천군 장남면에서 재배되었을 만큼 오래되었고 전통만큼 재배면적과 생산량도 현재 경기도에서 최고이다. 적합한 토질과 북방의 뚜렷한 기온차로 인해 맛과 영양가가 월등한 연천의 콩은 한국의 건강식품으로서의 전통을 이어가는 데 최적의 품질을 갖춘 특산품(Daum 백과사전)”이다. 반면에 장단콩은 “대한민국에서는 파주시 장단출장소 지역이나 연천군 장남면(구 장단군)에서 생산되는 콩(Daum 백과사전)”이다.

그러나 “연천군에서는 장단콩 브랜드를 파주시만큼 적극 사용하진 않는다.”고 Daum 백과사전은 지적하고 있다. 포털싸이트(Portal site)에서의 이런 지적은 부끄러운 일이다. 필자는 연천군의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연천 콩 brand를 알리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가칭 “콩.콩.콩 연천군 맷돌 축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천은 맷돌 공장이 있을 정도로 맷돌이 유명하였다. 연천의 맷돌은 주로 화산석이라는 돌로 만들어졌다. 화산석은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오랜 사용에도 변형이 적다. 화산석의 미세한 기공 구조는 재료의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데 도움을 주어, 가공된 식품의 질감을 개선한다.

맷돌은 곡물, 콩, 향신료 등을 가는 데 사용되는 전통적인 도구로,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으며 화산석으로 만들어진 맷돌은 그 내구성과 효율성 덕분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맷돌은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많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화천에 산천어가 없듯이 지금은 연천에는 이런 돌이 없다. 그렇다고 맷돌 축제를 못할 것이 없다. 멧돌을 강조하는 이유는 맷돌과 콩의 연결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연천의 맷돌과 콩의 관련성을 강조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획기적인 방법은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적인 접근으로 결합하여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데 있다.

첫째, 맷돌과 콩을 활용한 퓨전 요리 개발
맷돌로 갈아 만든 콩가루를 활용한 다양한 퓨전 요리를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콩가루를 이용한 디저트나 스낵을 만들어 새로운 소비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요리사나 일반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콩과 맷돌을 주제로 한 요리 대회를 개최하여 창의적인 요리를 발굴하고 홍보한다.

둘째, 맷돌 체험 프로그램과 교육
관광객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맷돌을 이용한 콩 가공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가공 방법을 배우고, 직접 만든 제품을 시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지역 브랜드 개발 및 마케팅
연천 콩과 맷돌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브랜드 스토리를 개발하여 소비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연천 콩과 맷돌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한다.

넷째, 지역 농민과의 협력 및 공동 생산
지역 농민들이 협력하여 콩을 재배하고, 맷돌을 이용한 가공 제품을 공동으로 생산하는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협동조합에서 생산한 제품을 공동 브랜드로 출시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다섯째, 문화 행사 및 축제 개최
맷돌과 콩을 주제로 한 전통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공연과 체험 부스를 마련하여 흥미를 유도한다. 또한 맷돌과 콩의 역사, 가공 과정 등을 소개하는 특별 전시회를 열어 지역의 전통 문화를 알리고, 관광객의 관심을 끌 수 있다.

화산석과 맷돌은 전통적인 가공 도구와 재료로서, 그 특성과 장점을 통해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화산석 맷돌을 활용한 전통 요리와 현대 요리의 융합,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전통 문화를 보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지역 사회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