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시종고분군', 국가지정유산 지정

정찬남 기자 / jcrs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07-07 15:32:3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내동리 쌍무덤ㆍ옥야리 고분
마한 등 문화유산 정책 탄력
 
[영암=정찬남 기자] 고대 마한 유적인 전남 영암군 내동리 쌍무덤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이 7일 ‘영암시종고분군’의 이름으로 국가유산청 국가지정유산 사적으로 지정됐다.

이번 지정은 영암군에서는 1989년 ‘구림리 요지’ 사적 지정 이후 이뤄진 35년만의 성과이다.

지역사회는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을, 고대 마한을 포함한 지역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암시종고분군은 5C 중ㆍ후반~6C 초에 조성된 유적으로, 전통 옹관묘에서 대형 방형 분구 석곽묘ㆍ석실묘로 변화하는 마한의 매장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고대의 토목 기술과 공동체 조직 등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 고고학 자료다.

아울러 백제, 가야, 중국, 왜 등의 외래문화를 수용한 마한 세력의 뚜렷한 정체성을 담고 있는 유적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영암시종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도 금동관 세움장식, 영산강 유역 토기 등 다양하다.

특히 청자잔, 동남아산 유리구슬, 원통형 토기, 동물형 토제품 등 외래에서 전래된 뒤 현지화한 유물은 당시의 문화교류사를 알려주는 귀한 자료다.

군은 ‘마한의 심장, 영암’을 군정 주요 비전으로 삼아 문화유산팀을 신설하고, 학술조사를 진행하는 등 마한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ㆍ활용 정책을 추진해 왔다.

구체적으로 군의 시종고분군의 사적 지정 노력은 2009년 장동 방대형 고분 시굴조사로 시작됐다.

이 조사는 2018년 내동리 쌍무덤 정밀조사를 포함한 15년의 학술조사가 더해지며 2022년 사적 지정 신청으로 이어졌다.

내동리 쌍무덤 사적 지정을 신청한 군은 2022년 국가유산위원회의 ‘2009년부터 조사된 장동 방대형 고분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두 유적의 가치를 통합 정리해 사적 신청에 나섰다.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은 2023년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유치와 함께 영암군의 마한 역사문화 정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