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ㆍ운전자금 최대 10억 융자
이에 따라 상반기 300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이번에 100억원을 추가해 올해 총 400억원을 지역 중소기업에 융자로 제공하게 된다.
이번 조치는 시가 올해초 발표한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 소비ㆍ착한 금융ㆍ착한 일자리)’의 하나로 추진하게 됐다.
지원 대상은 시에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 중 제조업 전업률이 30% 이상인 제조업체 또는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체이다.
지원 내용은 ▲시설자금(공장 건물ㆍ사무소 등 영업 활동의 기초가 되는 고정시설의 투자금) 10억원(3년 거치 5년 균분상환) ▲운전자금 3억원(1년 거치 2년 균분상환)이며, 시가 인증한 우대기업(프리(Pre)-명품강소기업ㆍ명품강소기업ㆍ우수중소기업인ㆍ일자리우수기업ㆍ광주형일자리기업ㆍ산업안전보건우수기업)은 최대 10% 범위내에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적용 금리는 시중보다 낮은 연 2.12%로, 시는 중앙부처의 금리 공지를 참고하되 지역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 경감을 위해 연말까지 이 수준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한 기업에는 0.5%p를 추가 인하해 기업의 금융부담을 줄일 방침이다.
특히 이번 지원은 최근 운전자금 위주 편중 현상을 개선해 시설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운전자금(원자재 구매ㆍ급여 지급 등 영업 활동 유지에 소요)은 상환기간이 지난 기업만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했다.
자금 신청은 1일부터 자금 소진 때까지 가능하다.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이 관리하는 기금융자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기금융자관리시스템)으로 신청과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이후 심사를 거쳐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농협(중앙회),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한국산업은행 등 8개 은행에서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