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30년 돼지열병 청정화" 신형 백신 접종등 방역 로드맵 마련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11-05 15:51:3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야생멧돼지 미끼 예방약 살포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2030년까지 돼지열병(CSF) 청정화와 돼지소모성질병(PED·PRRS) 발생 최소화를 목표로 신형 백신 접종 등 양돈 질병 방역 관리 대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민관학 방역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생산자단체와 전문가, 학계 등이 참여하는 현장 설명회를 16회 열어 '돼지열병 청정화 단계별 로드맵'을 마련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로드맵의 첫 단계는 오는 2027년까지 '국내 돼지열병 청정화 기반 구축'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26년부터 기존 백신을 신형 마커백신으로 교체한다.

마커백신은 돼지의 돼지열병 항체가 외부 감염에 의해 생긴 것인지 마커백신 접종에 의해 생긴 것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해 방역 관리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감염농장 색출을 위해 연간 25만회 이상의 정밀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 야생멧돼지의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해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30만4000두 분량의 미끼 예방약을 살포하고 야생멧돼지 포획 등으로 모니터링 검사를 확대 실시한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로드맵 두 번째 순서는 오는 2028년부터 2029년 상반기까지 '청정화 확인' 단계로, 첫 번째 단계의 방역 대책을 전국 단위로 시행한다.

이후 2029년 하반기부터 오는 2030년까지는 '청정화 달성' 단계로, 위험도 평가 결과 바이러스 순환이 없어 예방접종을 중단했을 경우 농장으로의 백신 공급을 멈추고 지방 정부별로 특별 방역관리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로부터 청정국 지위 인증을 획득한다는 구상이다.

마지막으로 오는 2031년 이후 '청정화 유지' 단계에서는 돼지열병 발생을 대비한 백신 비축과 농장 모니터링 검사, 야생멧돼지 관리, 국경검역 등이 추진된다.

또한 농식품부는 양돈 농장의 돼지소모성질병(PED·PRRS) 발생 최소화를 위해 모든 농장의 질병 진단과 발생 정보를 농가에 공유해 교차오염을 예방할 계획이다.

농가별 소모성질병 백신 접종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가의 백신 접종 등 교육을 위해 '백신 운용 전문가위원회'를 도입한다.

이와함께 농식품부는 양돈농장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질병 징후 조기 감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민간 자율방역 조사연구단'을 구성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돼지열병 청정화와 돼지 소모성 질병 최소화 목표를 달성하면 돼지고기 수출 기반을 확보해 양돈산업이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