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 6806곳 대상 60% 목표
[남악=황승순 기자] 전남도가 조피볼락, 넙치, 전복 등 양식장 6806곳, 1만5663어가를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는 입식신고소를 연중 운영한다고 밝혔다.
입식 신고는 자연재해 피해 발생시 피해 규모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관련 법령에 따라 입식할 때마다 입식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
입식 신고 대상은 넙치, 뱀장어, 새우, 전복 등을 키우는 내ㆍ해수면 양식장 운영 어가다.
양식 어업인이 키울 종자를 새롭게 입식할 때 시ㆍ군 업무 담당자가 직접 양식 어가를 방문해 신고서와 증빙서류 등을 접수하는 방법으로 운영된다.
도는 2022년 입식 신고율이 40%에 그쳤으나 지난 2023년 찾아가는 입식 신고소 운영과 각종 홍보를 통해 49%의 높은 신고율을 보였다.
올해는 시ㆍ군, 해양수산과학원 등 선제적 대응으로 입식 신고율을 60% 이상 달성할 계획이다.
미신고시 재난지원금 등 정부 지원을 일체 받을 수 없다. 또 양식수산물 재해보험에도 가입할 수 없다. 실제로 2022년 태풍 ‘힌남노’ 피해를 본 한 어가가 입식 신고를 하지 않아 복구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지난 2023년 전남에는 고수온이 장기간 유지되면서 여수, 고흥, 장흥, 완도, 신안, 5개 시ㆍ군에서 376어가, 조피볼락, 참돔, 넙치, 전복 등 어패류 14종, 1560만마리, 1132줄, 218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