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효과 1111억ㆍ생산유발효과 2172억 기대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지난 29일 오후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세미나실에서 ‘전국체육대회, 광주체육인의 의견을 듣습니다’를 주제로 ‘제44회 월요대화’를 진행했다.
이번 월요대화는 지난 21일 월요일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로 인해 연기돼 이날 개최됐다.
이날 월요대화는 ‘광주체육의 위상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체육대회 개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체육계를 중심으로 제기됨에 따라 체육인, 학계, 시민 등이 함께 모여 전국체전 개최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였다.
문종민 광주시체육회 부회장은 ‘스포츠로 도약하는 광주’, ‘기존 체육시설 활용 극대화를 통한 저비용ㆍ고효율 대회 운영’, ‘AI접목 등을 통한 미래 스포츠 선도도시’를 3대 목표로 제시했다.
광주시체육회는 2028년 제109회 전국체육(장애인)대회를 유치하게 되면 이듬해인 2029년 소년(장애학생)체전을, 2030년 생활체육대축전 등 전국 규모 체육대회가 광주에서 연이어 열리게 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시설 개보수와 운영비 등 약 65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8만4000여명의 선수단과 임원, 학부모, 일반 관람객을 포함해 3년 간 총 유입 인원은 최대 15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 인한 경제 파급 효과는 직접 경제 효과 1111억원, 생산유발효과 2172억원, 취업유발효과 2614명 등으로 추산된다.
전국체육대회 개최를 위한 예산은 보조금법 시행령에는 운영비 50%, 시설비 30%까지 지원이 가능하지만, 현재 중앙부처는 운영비 약 40억~60억원, 시설비 최대 200억원 등을 정액 지원하고 있어 전국체전 개최 예정 도시인 제주(2026년), 경기(2027년), 충남(2029년) 등과 함께 국비 지원 확대를 위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