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철(冷徹)의 사전적 의미는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사리에 밝다”라는 뜻이다. 냉철(冷徹)의 한자 의미와 인문학적 의미를 살펴보면, 냉(冷)은 “얼음 냉(冷). 차가울 냉(冷)”으로 인문학적 의미로는 단순히 온도가 낮은 상태를 넘어,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뜨거운 감정이나 욕망에 휘둘리지 않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양 철학에서는 냉정함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진리를 깨우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노자는 "정(靜)"을 강조하며,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혀 외부의 소리에 흔들리지 않는 경지를 추구했다. 이것이 냉(冷)이다.
철(徹)은 “뚫을 철(徹)”로 인문학적 의미로 단순히 물체를 뚫는 행위를 넘어,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물의 표면적인 모습에만 머무르지 않고, 그 속에 숨겨진 진실을 밝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법률에서는 범죄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증거를 꼼꼼히 분석하고, 사건의 전말을 낱낱이 밝혀내는 과정을 '철저한 수사'라고 한다.
따라서 냉철(冷徹)의 의미는 “냉과 철”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로,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사리에 밝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객관적인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꿰뚫어 보는 능력을 뜻한다. 냉철한 사람은 외부의 압력이나 감정에 흔들리지 않고, 항상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가짜 뉴스 시대에 냉철한 판단이 중요하다.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특히, 가짜 뉴스는 마치 전염병처럼 빠르게 퍼져나가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의 냉철한 판단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가짜 뉴스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과 판단 등이 중요하다.
첫째, 정보에 대한 비판적 분석하여 받아들여야 한다.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정보를 분석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시각을 지녀야 한다. 한 가지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셋째, 객관적인 근거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감정적인 호소나 자극적인 표현에 휘둘리지 않고,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한다.
넷째,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필요한 경우, 해당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냉철한 판단을 위한 인문학적 소양을 지녀야 한다.
냉철한 판단을 위해서는 단순히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도 필요하다. 인문학은 역사,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비판적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사람은 복잡한 사회 현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냉철한 판단은 민주주의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가짜 뉴스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국민 개개인의 냉철한 판단이야말로 사회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해야 하며 비판적인 사고 능력과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해야 한다. 이로써 우리 모두 냉철한 판단력을 갖추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기여해야 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