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일카네기 최고경영자과정 서울 99기가 5월 12일 성공적으로 개강했다. 오민교 (주)동그라미소프트 대표이사, 서동옥 (주)NEPS 대표이사, 이동구 (주)제이앤이 전무이사 등이 참여했고 개강식과 함께, 성과 증진 사이클과 비전을 공유하는 소통 기법을 주제로 1과가 진행됐다. 데일카네기 최고경영자과정은 19일 대구, 26일 광주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개강 예정이다.
AI와 자동화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조직의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의 조건이 바뀌고 있다. 초불확실성과 정서적 리스크가 공존하는 시대, 단순한 업무 역량만으로는 사람을 움직이고 조직 전체를 성과로 이끄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 인간관계 중심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강조하는 ‘데일카네기 최고경영자 과정’이 전국 주요 도시에서 연이어 개강하고 있다.
데일카네기트레이닝은 최근 발간한 ‘AI In The Workplace’ 백서를 통해 “AI가 일의 방식은 바꿨지만,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여전히 사람에게 있다”고 강조하며, 관계 중심의 리더십과 투명성, 신뢰와 조직 내 심리적 안전감이 조직 생존력의 핵심이라는 메시지를 제시했다.
카네기 인간관계론이 출간된 1935년 당시 미국은 인구의 20%가 구호를 받았던 극심한 대공황을 겪고 있었다. 불황과 관련된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미국 사회를 지배하던 시기에 데일 카네기는 인간관계에 대한 지침과 효과적인 협력을 그 해답으로 제시하였다. 당시 카네기의 강연을 듣기 위해 2,500의 명의 사람들이 뉴욕 펜실베이니아 호텔 연회장에 모여들기도 했다.
미 립스콘 대학의 앨리슨 듀크 교수는 ‘데일 카네기 원칙의 사회적 효과 및 역사적 기반(Historical foundations of social effectiveness? Dale Carnegie's principles, 2008)’이라는 기고문에서 “1930년대 대공황을 겪을 당시 미국의 수많은 경영인과 전문가들이 데일 카네기를 통해 효과적인 대인관계와 소통 능력을 증진함으로써 극심한 불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께 했다.”고 기술했다.
버크셔해서웨이 CEO 워렌 버핏은 "데일카네기코스에서 인간관계,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체계적으로 배웠다. 그것은 내가 가진 학위 중 가장 중요한 학위이다"라며 교육의 가치를 강조한 바 있다.
'데일 카네기 최고경영자 과정'은 당시 데일 카네기의 강의 기법과 철학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의 경영 이슈를 반영하여,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실천적 리더십과 경영 노하우 습득을 목표로 한다.
참가자들은 매주 전문 교수진의 코칭과 피드백을 받으며 인간 경영 리더십 역량을 개발하게 된다. 이 과정은 전 세계적으로 900만 명 이상, 국내에서는 3만 명 이상의 CEO 과정 동문을 배출하며 폭넓은 경영자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I In The Workplace 백서 전문과 데일카네기 최고경영자과정 세부 사항은 데일카네기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