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33% "우울할 때 도움줄 이 없다"

박소진 기자 / zini@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5-11-03 16:02:1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5명 중 1명 우울 증상 경험
65% "돈 빌려줄 사람 없어"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국내 등록 장애인 3명 중 1명은 우울 등 정신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대화를 나누거나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다고 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등록 장애인은 263만1356명으로 전체 인구의 5.1%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1906명 감소한 수치다.

등록 장애인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은 145만5782명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3%를 차지했다.

청년층(19~34세)은 15만1504명으로 5.8%, 18세 이하 아동ㆍ청소년은 9만6383명으로 3.7%로 나타났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가 43.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청각장애 16.8%, 시각장애 9.4%, 뇌병변장애와 지적장애가 각각 8.9% 순이었다.

사회적 고립도 분석 결과, 장애인들의 사회적 고립도는 비(非)장애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갑자기 큰돈이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할 대상이 없다’는 응답은 비장애인 48.1%, 장애인 65.6%였으며, ‘아파서 집안일을 부탁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도 장애인 30.0%로 비장애인(25.8%)보다 높았다.

또한 장애인 5명 중 1명(19.8%)은 우울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가벼운 우울’이 13.2%, ‘중간 정도’ 5.7%, ‘심한 우울증’은 0.9%였다.

건강 관련 조사에서는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가진 비율이 82.4%로 높게 나타났으며, 3개 이상을 가진 사람도 33.7%에 달했다.
주요 위험 요인은 높은 혈당(54.4%), 고혈압(49.9%), 복부 비만(35.7%) 등이었다.

그러나 주간 근력운동 시행 일수 조사에서 '없음'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73.5%로, 신체활동 부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주 1일 운동’은 6.2%, ‘2일’은 5.2%, ‘3일’은 5.7%였다.

주거 관련 통계에서는 장애인 가구의 소득 대비 집세(주택임대료) 비율이 28.0%로, 비장애인 가구(16.7%)보다 11.3%포인트 높았다.

이는 장애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더 큰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